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뉴욕시 쥐 문제 점점 악화

뉴욕시의 골칫거리 중 하나인 쥐 문제가 점점 악화되고 있다.   3일 데일리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 7월 31일까지 뉴욕시 311 민원전화에 접수된 쥐 목격 신고는 1만6000여 건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연간 신고 건수가 총 1만6000건이었던 것을 반년여 만에 따라잡은 것이다.   2021년 동기간 접수된 1만4000건과 대비해도 14%나 증가했다.   늘어난 쥐떼들로 인해 운전자들도 피해를 보고 있다.   3일 뉴욕타임스(NYT)는 최근 많은 운전자들이 차량 후드(엔진 덮개) 속에 쥐가 들어가면서 일으키는 문제로 정비소에 찾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후드 속에 들어간 쥐들은 주로 친환경 소재로 만들어진 전선의 피복을 갉아먹거나 식물성 원료인 콩으로 만든 바이오 플라스틱 엔진 커버 등을 갉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차량 정비공들은 NYT와의 인터뷰에서 “이유 없이 차량 엔진 경고등이 들어온다면 엔진 후드 내 쥐가 있는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며 정비소를 방문해 빠른 대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거리의 쥐떼가 들끓는다는 민원이 잦아지자 뉴욕시도 쥐 출몰을 막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먼저 맨해튼 타임스스퀘어를 중심으로 시전역 상업지구에 대형 컨테이너 쓰레기통이 도입되고 있다. 뉴욕시 청소국(DSNY)은 새롭게 배치되는 컨테이너 쓰레기통을 통해 대용량의 쓰레기봉투를 밀폐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 도로변이 미관상으로, 환경적으로도 개선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   또 청소국은 주거 쓰레기를 길거리에 배출할 수 있는 시간을 4시간가량 줄이기로 했다. 현재는 시 청소국이 쓰레기를 수거하기 전날 오후 4시부터 주거건물 앞에 쓰레기봉투를 쌓아둘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오후 8시 이후부터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해당 정책이 시행되기까지는 행정적 절차가 많이 남아 빨라도 내년 초에나 시행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또 에릭 아담스 시장은 새로운 컨테이너 쓰레기통 배치 및 관리 강화에 2200만 달러의 예산을 투입하고 쓰레기통이 쌓여 쓰레기가 방치되지 않도록 철저하게 비워낼 것이라고 공약했다.   이외에도 뉴욕시민들은 쥐 출몰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뉴욕시 야외식당 프로그램을 종료할 것을 요구하며 단체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본지 8월 2일자 A2면〉  심종민 기자 [email protected]문제 뉴욕 컨테이너 쓰레기통 뉴욕시 청소국 뉴욕시 야외식당

2022-08-03

뉴욕시 야외식당 종료 요구 소송

뉴욕시민들이 단체로 야외식당 프로그램을 종료할 것을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원고 측은 야외식당 구조물이 주차를 어렵게 하고 주변 교통을 혼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로 인한 쓰레기와 쥐 등 위생문제를 야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늦은 밤까지 소음이 발생하는 등 피해가 크다며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소송의 이유를 밝혔다.     소송에는 맨해튼 그리니치빌리지, 이스트빌리지, 워싱턴하이츠 등 여러 구역, 브루클린 부시윅과 윌리암스버그 등지에서 거주하는 주민들의 피해진술서가 포함됐다.     반면, 이에 대해 식당업주들 단체는 여전히 야외식당 좌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뉴욕시접객업연맹(NYC Hospitality Alliance) 측은 “팬데믹으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식당업주들의 회복이 아직 멀다”면서 “야외식당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뉴욕시가 빠른 시일 내에 구체적인 옥외영업 영구화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2월 뉴욕시의회는 식당들의 옥외영업을 영구화하는 결의안(Res. 0053)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환경영향 검토가 필요하다는 소송이 제기돼 이후 단계가 지연됐고, 현재까지 구체적인 지침이 발표되지 않았다. 장은주 기자야외식당 뉴욕 뉴욕시 야외식당 야외식당 프로그램 요구 소송

2022-08-01

뉴욕시 야외식당 영구화 논란 심화

팬데믹 이후 도입된 뉴욕 아웃도어 다이닝(야외식당)이 영구적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조치 당시 어려움을 겪은 식당들이 수익을 회복할 수 있고, 코로나19 확산도 방지할 수 있다는 논리 때문이다.     그러나 반발도 거세다. 소음과 쓰레기·쥐 등으로 골머리를 썩는 주민들은 지난달 야외식당 정책 영구화에 반대소송을 내기도 했다. 뉴욕시가 야외식당 정책을 없앨 경우 돌아올 업계의 반발 등 정치적 이유로 결단을 못 내린다는 비판도 나온다.   16일 뉴욕시에 따르면, 도시계획위원회(CPC)는 15일 야외식당과 카페를 영구적으로 운영하고 야외식당 구역제한을 없애는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11명의 위원 중 10명이 찬성했다. 시의회까지 최종 통과하면 식당·카페들은 영구적으로 외부 식사공간을 운영할 수 있다. 기존엔 야외식당이 허용되지 않았던 지역 제한도 풀린다.   하지만 반발도 만만치 않다. 맨해튼에서 7년째 사는 한 여성은 “백신을 맞기 전엔 야외공간을 선호했지만 이젠 그렇지 않다”며 “스타벅스 등 카페 야외공간을 노숙자들이 점령한 경우도 많고, 바로 옆에 차도가 있어 안전에 대한 위협도 느낀다”고 말했다. 야외식당이 몰려있는 이스트빌리지 주민들은 지난 여름 대규모 시위에 나서기도 했다. 야외식당이 소음을 유발할 뿐 아니라 쓰레기도 많아져 쥐도 들끓게 됐다는 것이다.     식당·카페가 아닌 가게 주인들의 불만도 크다. 사람들이 길을 가로막아 오히려 장사가 안 된다는 것이다. 뉴욕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야외식당이 생겨난 후 약 8550개의 주차 공간이 사라졌고, 도로정체 문제도 심각하다. 대신 뉴욕시는 10만여개의 식당 일자리가 생겨났다고 설명한다.   식당 업주들 사이에서도 의견은 갈린다. 김영환 퀸즈 먹자골목 한인상인번영회장은 “시에서 운영계획을 빠르게 확정해 주면 식당들도 정돈된 야외식당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확한 운영방침이나 기준이 없어 상인들도 혼란을 겪었고, 야외 투자계획도 확정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김 회장은 다음달 뉴욕시 결정을 지지하는 성명을 낼 예정이다.     반면 실효성과 위생 문제를 생각했을 때 야외식당을 없애야 한다는 업주들도 있다. 박상진 뉴욕한인요식업협회 회장은 “겨울철 보온을 하다보면 환기도 안 되고, 확실히 청소도 덜 하게 되는 것은 사실”이라며 “협회 회장이자 셰프로서 봤을 때 이젠 실내운영만 하는 것이 맞지 않나 생각한다”고 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야외식당 영구화 뉴욕시 야외식당 야외식당 구역제한 야외식당 정책

2021-11-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